5) 다짐기계 : 다짐기계는 흙이나 포장면을 다짐하여 밀도를 증가시켜서 전단력과 지지력을 크게 하고 침하량과 투수성을 감소시킨다. 노체와 노상의 다짐기계는 전압, 진동, 충격력을 이용하여 다짐을 한다.
- 다짐 기계의 분류
* 정적 압력에 의한 것 : 로울러의 자체 중량에 의한 정적 압력으로 토사 등의 재료를 다지는 기계로서 로울러 회전에 따라 압력의 위치와 크기가 변화하며 타이어 로울러, 머캐덤 로울러, 탠덤 로울러, 탬핑 로울러 등이 있다.
* 원심력에 의한 것 : 자제 중량이 부족한 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기진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하 또는 원주 방향의 수평 진동력으로 변환하여 다짐에 사용하며 진동 로울러, 진동 콤팩터, 진동 타이어 로울러 등이 있다.
* 충격력에 의한 것 : 자유 낙하하는 기계의 충격력을 다짐에 이용하며 주로 소류모 다짐 작업에 적용하고 램머, 탬퍼 등이 있다.
- 다짐 기계의 종류
^ 로드 로울러 : 주철 또는 강판의 평활한 차륜을 가진 자주식이며 차륜 배치에 따라 2륜 또는 3륜의 탠덤 로울러, 3륜의 머캐덤 로울러로 분류한다. 로드 로울러는 작업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하므로 주로 노상, 노반의 다짐에 사용하며 쇄석, 사질토, 자갈이 섞인 사질토 등의 입상이고 변형에 대한 저항이 큰 재료를 얇게 다질 때 적합하다. 다짐 효과는 차륜에 걸리는 중량, 차륜의 폭과 직경에 좌우되고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드럼 내에 물, 모래 등을 넣은 방법도 있다.
* 머캐덤 로울러 : 1개의 안내륜(앞바퀴)과 2개의 구동륜(뒷바퀴)으로 구성되고 중량은 5 ~ 6 ton, 다짐 폭은 1,600 ~ 2,080mm이며 함수량이 적은 토사를 얕은 두께로 다지거나 아스팔트 포장의 초기 전압에 적합하다.
* 탠덤 로울러 : 앞바퀴와 뒷바퀴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중량은 3 ~ 13 ton이며 사질토, 점질토, 쇄석 등의 다짐에 사용하고 특히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 다짐에 효과적이다.
^ 타이어 로울러 : 차량 바퀴에 공기식 고무 타이어를 장착하여 평탄하게 주행하면서 다지므로 주행 속도가 빠르며 접지 면적이 넓고 표면에서 전단력 파괴가 방지되어 점착력이 적은 토질헤 효과적이다. 자주식과 피견 인식이 있고 진동 장치를 한 것도 있으며 노상, 노반의 전압과 아스팔트 포장의 표층 다짐에 많이 사용한다. 기초 다짐에는 중량이 크고 독립된 차륜으로 진동 폭과 구동력이 큰 타이어 로울러를 낮은 공기압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 탬핑 로울러 : 탬필 로울러는 사력댐, 축제, 도로, 비행장 등의 대류모 쌓기 작업에 사용하며 tamper foot의 두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다짐이 이루어지며 자주식과 피견 인식이 있다.
^ 진동 로울러 : 진동 로울러는 다짐 재료에 진동, 충격력, 자중에 의한 압력 등을 주어 다짐을 하는 기계로서 자주식과 피견인식이 있고 자갈 질흙, 모래, 사질토 등의 조립토에 적합하며 재료의 함수비, 기계의 진동수, 진폭, 중량, 작업 속도 등이 다짐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진동 로울러는 다짐을 하는 철륜에 기진 장치를 하여 강제로 진동시키며 일반적으로 3 ~ 4배의 중량을 가진 정적 압력식 로울러에 상당하는 선압을 가지고 있다. 구조와 차륜의 배치에 따라 탠덤형, 머캐덤형, 타이어 구동형, 타이어 로울러 결합형이 있고 탠덤형은 단륜 또는 전륜 진동식이 있으며 진동수와 전압력 가변 장치에 의해 분류한다.
^ 기타 다짐 기계
* 램머 : 램머는 가솔린 엔진의 폭발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가 낙하할 때의 충격력으로 다짐하는 기계이며 소형, 경량이므로 운반이 용이하고 협소한 장소의 다짐에 적합하여 보수 공사 등에 많이 사용한다.
* 탬퍼 : 외형은 램머와 유사하고 소형 가솔린, 엔진의 회전력을 크랭크에 의한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다짐판에 연속적인 충격을 가하여 다진다. 충격 회수와 진행 속도와 일정하므 균일한 다짐 작업이 가능하다. 협소한 장소의 다짐에 사용한다.
* 콤팩터 : 가솔린 엔진에 의한 진동 장치와 평판 진동체가 조합된 다짐기계이며 일반적으로 도로, 제방 등의 보수 공사와 배관 공사의 뒤채움 다짐에 사용한다.
6) 크레인 : 크레인은 중량물을 인양하여 이동하는 기계로서 상하, 수평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자주식 크레인(크롤러 크레인, 트럭 크레인)과 고정식 크레인(케이블 크레인, 데릭 크레인, 타워 크레인)이 있다.
- 무한궤도식 크레인 : 셔블계 굴삭기의 본체에 boom과 hook을 정착한 기계이며 본체와 boom, boom hoist rope, book hoist rope, hook 등으로 구성되고 접지압이 적어서 연약한 지반의 작업에 유리하며 기계의 중심이 낮으므로 안정성이 우수하다.
- 무한궤도식 크레인의 주행 장치를 타이어로 한 것이 휠 크레인, 주행 장치를 트럭 차대로 바꾼 것이 트럭 크레인이다. 타이어식 크레인은 무한궤도식 크레인에 비하여 작업의 안정성이 크고 이동이 신속하지만 큰 접지압이 필요하므로 연약 지반의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