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시공학

건설 기계공(4)

by 짜라짜라짠짠이 2022. 7. 12.

7) 콘크리트용 기계 : 콘크리트용 기계에는 콘크리트 생산 플랜트, 콘크리트 운반 기계, 콘크리트 타설 기계, 콘크리트 진동기 등이 있다. 

- 콘크리트 생산 플랜트 : 콘크리트 Batcher plant 또는 콘크리트 batching & mixing plant라고 하며 시멘트, 모래, 골재, 물 등을 계량하여 공급장치에 의해 믹서에 공급,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계로서 계량 방식, 조작 방식, 뱃처의 조합 방식, 혼합기의 용량과 대수 등에 의하여 분류한다. 

- 콘크리트 운반 기계 

^ 트럭 믹서 : 트럭에 믹서를 탑재하고 트럭 엔진으로 회전시켜 재료를 혼합하면서 현장에 운반하는 기계로서 드럼의 회전을 감소시키면 트럭 애지테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 트럭 애지테이터 : 콘크리트를 교반하면서 운반하도록 나선형 날개가 부착된 드럼을 트럭 대차에 탑재한 기계로서 엔진을 회전하여 교반과 배출이 이루어지고 수평 드럼형과 경사 드럼형이 있으며 용량은 1회 최대 운반량으로 표시한다. 

- 콘크리트 펌프 : 콘크리트를 압송관을 통하여 타설 현장에 연속적으로 압송하는 기계로서 구동 방식에 따라 피스톤식과 스퀴즈 식이 있고 피스톤식은 기계식과 유압식으로 분류되며 이동 방법에 의해 정치식, 피견 인식, 자주식으로 구분한다. 

- 콘크리트 진동기 : 콘크리트 진동기는 진폭이 0.5 ~ 4mm, 진동수가 7,000회/min의 충격 진동을 타설된 콘크리트에 가하여서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제거하여 수밀성과 강도가 큰 콘크리트를 만드는 기계이다. 

^ 내부 진동기 : 콘크리트 내부에 진동기를 삽입하여 직접 진동을 주며 원통형 진동기가 많이 사용되고 원동기와 진동기가 직결된 직결형과 가요 축으로 연결된 연결형이 있다. 

^ 표면 진동기 : 비교적 두께가 얇은 콘크리트의 표면에 진동을 주는 기계로서 표면을 평탄하게 하고 precast 제품의 생산이나 콘크리트 포장의 다짐 작업에 적합하다. 

8) 포장 기계 : 도로 포장용 기계는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용으로 대별하고 아스팔트용 포장 기계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플랜트, 아스팔트 피니셔, 아스팔트 살포기, 골재 살포기 등이 있으며 콘크리트용 포장 기계에는 콘크리트 페이버, 콘크리트 스프레더, 콘크리트 절단기 등이 있다. 

- 아스팔트 포장 기계

^ 아스팔트 콘크리트 생산 플랜트 : 아스팔트 콘크리트 플랜트는 재료의 공급, 가열, 건조, 선별, 계량, 혼합의 일관 작업에 의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하며 계량 방법에 따라 뱃치식과 연속 식이 있고 설치 방법과 장소에 따라 정치식과 이동식으로 분류한다. 

^ 아스팔트 살포기 : 아스팔트 포장에서 노반과 아스팔트 혼합물의 결합을 위하여 분사 장치로 가열된 아스팔트를 노반에 균일하게 살포하는 기계이며 아스팔트 탱크, 가열 장치, 살포 장치, 연료 탱크, 원동기로 구성되고 트레일러, 트럭 등에 탑재한 것을 트럭 적재식이라고 한다. 

^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설 기계 :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는 asphalt paver는 주행 장치에 따라 무한궤도식과 타이어식으로 구분한다. 주행 장치는 무한 궤도식을 많이 사용하고 피니셔에 적재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중량 변동에 의한 중심 변화에서 오는 영향과 노면의 요철에 의한 영향을 스크리드가 받지 않도록 무한궤도의 길이를 길게 하며 피니셔의 이동성을 고려한 타이어식도 사용한다. 

^ 아스팔트 재생 포장 플랜트 : 재생 포장 공법은 아스콘 폐재를 기계 또는 가열에 의해 파쇄하여 재생 골재를 생산하고 보충재(골재, 아스팔트)와 재생 첨가제를 가하여 재생 아스팔트 플랜트에서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한다. 

- 콘크리트 포장 기계 : 시멘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교통 하중으로 인한 전단이나 휨에 저항아혀 하중을 기초에 전달하는 구조이며 표층의 시멘트 콘크리트 층은 포장 장비에 의하여 시공된다. 

8) 터널 굴착 장비 : 터널 굴착은 인력에 의한 굴착에서 발파 공법으로 발달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안전성, 발파 공해의 방지, 민원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TBM, 실드 등과 같은 기계식 터널 공법의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TBM은 천공과 발파를 반복하는 발파 굴착과는 다르게 터널 전단면을 자동화된 원형의 대형 보링 기계로 굴착을 하고서 숏크리트 등의 지보공을 설치하여 원지반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비발파식 기계 굴착 공법이다. 실드 기는 터널의 외형보다 약간 큰 단면의 강제 틀을 지반 중에 밀어 넣고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굴착을 하고 실드기의 후방에 복공용 세그먼트를 설치하여 터널을 형성시키는 공법으로 연약지반이나 자갈층 등의 터널 단면의 형성이 어려운 지반에서 안정성, 시공 정밀도, 경제성 등을 향상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공법이다. 

- 발파 굴착 

^ 천공 : 발파 작업에서 발파 패턴에 따른 정확한 천공이 되지 않으면 폭약 에너지의 작용 방향이 불확실하여 암반에 손상을 주며 굴착면의 요철이 심하고 여굴이 발생한다. 터널 굴착 단면에서 여굴이 많아지면 라이닝 콘크리트의 타설량과 굴착면의 지보재 보강량이 증가하게 된다. 

^ 버력 처리 : 굴착한 버력을 적재하는 기계는 터널 단면의 크기에 적당하고 지반 상태, 발파 상태 등의 조건에 효율적으로 적용하도록 선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버력의 적재는 셔블계 장비를 사용하고 굴착한 버력은 주로 덤프 트럭 등에 의해서 터널 외부로 반출된다. 

^ 숏크리트 타설 : 숏크리트는 압축 공기로 굴착도니 지반면에 뿜어 붙이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서 터널의 굴착 후에 즉시 암반에 밀착시켜서 암반을 느슨하지 않게 하는 중요한 지보 부재이다. 숏크리트의 타설은 배합 및 작업 방법에 따라 건식과 습식이 있으며, 건식은 물 이외의 혼합 재료(시멘트, 모래, 자갈)를 압축 공기로 노즐까지 보내고 노즐에서 물과 함께 뿜어 붙이는 방식이고 습식은 모든 재료들을 혼합하고서 압축 공기로 터널 굴착면에 뿜어 붙이는 방식이다. 

댓글